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. 첫 번째 주제, '왜 한동훈은 뒤로?'.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어디에서 뒤로 간다는 겁니까? <br><br>바로 개각 명단에서입니다. <br> <br>이르면 내일, 윤석열 대통령은 중폭 이상의 개각을 단행할 예정인데요. <br> <br>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,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,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등 10곳 안팎의 부처 장관이 바뀔 전망입니다. <br><br>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사실상 당에 차출되는 건데요. <br> <br>그런데 채널A 취재 결과,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일단 이번 주 개각 명단에서는 빠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Q2. 그럼 한 장관은 개각 대상이 아닌 건가요? <br><br>그렇지는 않습니다. <br> <br>연말이나 총선 출마를 위한 내년 초 공직사퇴 시한, 1월 11일 이전에는 교체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"윤석열 대통령과 여당 모두 한 장관에게 당을 도와달라는 뜻을 전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Q3. 그런데 굳이 뒤로 미룬 이유는 무엇인가요? <br><br>표면적인 이유는 법무부 장관으로서 해야 할 일이 아직 남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여당과 한 장관 측근에 따르면 한 장관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 대북송금 영장 재청구 등 자신의 임기 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아직 남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여권 일각에서는 한 장관이 직접 총선 출마를 할지, 단지 지원에만 나설지 결심을 굳히지 못해 시간을 준 것이라는 얘기도 나옵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법무부 장관(지난달 30일)] <br>"저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의견들이 많으신 것 같은데요. 의견에 대해서 평가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." <br><br>한 장관이 공식 등판할 경우 야당과 국민의 검증과 비판이 불가피하다 보니 한 장관을 보호하고 정치적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등판 날짜를 늦췄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Q4. 결국 시간 문제겠군요. 그럼 [두 번째 주제] 살펴보죠.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의 얼굴이 보이는데, 어디에 무엇을 두고 갔다는 겁니까? <br><br>바로 휴대전화입니다. <br> <br>인요한 혁신위원장, 지난달 30일 '공천관리위원장에 나를 추천해달라'는 폭탄 발언을 했었죠. <br> <br>[인요한 / 국민의힘 혁신위원장(지난달 30일)] <br>"혁신위에 전권을 주신다고 공언하셨던 말씀이 허언이 아니면 저를 공관위원장으로 추천해 주시기를 바랍니다. 월요일까지 기다리겠습니다." <br><br>그런데 채널A가 취재를 해보니까요. <br> <br>이 폭탄 발언 후, 측근들에게 "휴대전화를 끈 상태로 당사 사무실에 두고 간다"며 "주말 동안 나와 연락이 되지 않을 것" 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<br>Q5. 인 위원장이 왜 스스로 연락두절을 선택한 걸까요? <br><br>그 누구와도 연락을 하지 않은 채 자신의 뜻을 꺾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공천권을 건드린 만큼 당내 반발이 클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았던 거죠. <br> <br>실제 제안 2시간 만에 거절을 당했습니다. <br> <br>[김기현 / 국민의힘 대표(지난달 30일] <br>"국회 상황이 매우 엄중한데, 공관위원장 자리를 가지고서 논란을 벌이는 것이 적절하지 않아 보입니다." <br><br>Q6. 인 위원장이 내건 시한이 내일인데, 아직 당에서는 아무런 응답도 없죠?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오히려 당내에서는 "혁신위가 스스로 활동 종료 시기를 앞당겼다"는 반응까지 나옵니다. <br> <br>혁신위의 희생 요구에 무응답으로 일관한 지도부, 중진, 윤핵관 인사들도 문제지만, 이들을 압박하기 위해 공천관리위원장 카드를 꺼낸 건 무리수였다는 겁니다. <br> <br>당 핵심 관계자는 "당뿐만 아니라 이미 국민들조차 혁신위의 조기 종료를 의결한 분위기 아니냐"고 꼬집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지도부와 갈등을 빚어 혁신위가 조기종료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는 만큼, 혁신위와 지도부 간 갈등 봉합이 있을 걸로 보이는데요. <br> <br>이 당내 갈등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지, 모든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는 점 기억하고 있어야 할 거 같네요. (보고있다) <br> 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안보겸 기자 abg@ichannela.com